본 연구소는 새로운 개념의 초전극 소재 및 소자 연구를 통해 융·복합첨단소재 분야의 세계적 연구소로 발전하고, 우수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학·연·산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성장 및 지역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As-is HMC Center | To-be(중점연) (Hybrid Materials Research Center) | |||||
---|---|---|---|---|---|---|
- 개별 나노소재 ㅠ> - 나노소재 단순 결합 |
|
|||||
As-is | To-be | |||||
개별적 나노소재 연구, 나노소재의 단순 결합 연구 |
나노소재의 융합화(hybridization) 및 계층화(hierarchicalization)를 통한 새로운 성능, 복합 성능, 혹은 고성능(생체 적합, 웨어러블)의 새로운 소재 개발 |
As-is HMC Center | |||||
---|---|---|---|---|---|
- 개별 나노소재 - 나노소재 단순 결합 |
|||||
To-be(중점연) (Hybrid Materials Research Center) | |||||
|
As-is |
---|
개별적 나노소재 연구, 나노소재의 단순 결합 연구 |
To-be |
나노소재의 융합화(hybridization) 및 계층화(hierarchicalization)를 통한 새로운 성능, 복합 성능, 혹은 고성능(생체 적합, 웨어러블)의 새로운 소재 개발 |
이 내 성 주관연구책임자
|
학술 역량
SCI논문 140편
- 총 인용횟수 7,844회, h-index 38 - APL (1999) : 1,965회 인용 - DRM (2001) : 472회 인용 특허 : 미국 9건, 한국 33건 학술대회발표 200여건 - MRS/APS/IDW 등 초청강연 |
교육 / 인력양성 역량
석사 34명, 박사 6명 배출
BK21, 2기 / 3기 연구책임자 (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연구책임자 (현) 나노학과협의체 회장 한국나노기술연구협의회 교육위원장 (현) |
학·연·산 협력 역량
기술이전 (2018년)
- CNT 전극 관련 기술 2건 (2.1억원) 세계최초 CNT-FED개발 - 삼성기술상(금상) 수상 삼성전자종합기술원, 한국재료연구소 근무 경험으로 학·연·산 협력 높은 이해 |
집단과제 수행 역량
BK21 2기/3기 사업 (책임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책임자) 국가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 책임자 |
대외활동 역량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5년)
연구재단 국책본부 전문위원(현) 과기정통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현) 학회 활동(나노, 재료 분야) |
행정 역량
교내 다양한 보직 수행
- 공동기기센터장 - 공과대 학장 -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대학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위원, 대학구조개혁위원 |
학술 역량
SCI논문 140편
- 총 인용횟수 7,844회, h-index 38 - APL (1999) : 1,965회 인용 - DRM (2001) : 472회 인용 특허 : 미국 9건, 한국 33건 학술대회발표 200여건 - MRS/APS/IDW 등 초청강연 |
교육 / 인력양성 역량
석사 34명, 박사 6명 배출
BK21, 2기 / 3기 연구책임자 (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연구책임자 (현) 나노학과협의체 회장 한국나노기술연구협의회 교육위원장 (현) |
학·연·산 협력 역량
기술이전 (2018년)
- CNT 전극 관련 기술 2건 (2.1억원) 세계최초 CNT-FED개발 - 삼성기술상(금상) 수상 삼성전자종합기술원, 한국재료연구소 근무 경험으로 학·연·산 협력 높은 이해 |
집단과제 수행 역량
BK21 2기/3기 사업 (책임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책임자) 국가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 책임자 |
대외활동 역량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5년)
연구재단 국책본부 전문위원(현) 과기정통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현) 학회 활동(나노, 재료 분야) |
행정 역량
교내 다양한 보직 수행
- 공동기기센터장 - 공과대 학장 -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대학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위원, 대학구조개혁위원 |
SE : Superelectrode
구분 | 1단계 | 2단계 | 3단계 | ||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
발전계획 | SE 연구 기초 기반 확립 | 융합·계층구조 기반 SE 소재 중점 연구 |
융합·계층구조 기반 SE 에너지 소자 및 센서 중점 연구 |
융합·계층구조 기반 웨어러블 SE 소재 및 소자 중점 연구 |
생체적합성·생체분해성 SE 소재 및 소자 중점 연구 |
교육 | SE 관련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 |
융합 기반 대학원 교육과정 신설 및 운영 |
SE 전공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
SE 전공 전임연구인력 양성 | 세계적 수준의 SE 전문 인력 배출 및 확산 |
연구 | 하이브리드 나노 재료 기반 SE 기초 연구 |
나노 소재를 이용한 융합 ·계층구조 형성 및 응용 소자 연구 |
융합·계층구조기반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센서 연구 |
융합·계층구조 기반 웨어러블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센서 연구 |
융합·계층구조 기반 생체적합성·생분해성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 /센서 연구 |
협력 | 학·연·산 협력 네트워크 기반 설계 |
학·연·산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및 공동연구 추진 |
학·연·산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
학·연·산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
국제 협력 기반 세계 수준의 연구소 도약 |
운영 | 연구소 운영 체제 설계 | 연구소 장비 구축 및 활용 | 연구소 평가 체제 확립 | 연구소 운영 체제 고도화 | 연구소 자립화 방안 마련 |
석
사 과 정 박
사 과 정 |
기초 과목
|
선택 과목
- 반도체재료특론 |
소재소자 융합 과목
- 나노융합기술응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