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연구소 소개
2020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선정 (총 3단계. 9년 연구계획)

본 연구소는 새로운 개념의 초전극 소재 및 소자 연구를 통해 융·복합첨단소재 분야의 세계적 연구소로 발전하고, 우수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학·연·산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성장 및 지역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As-is HMC Center arrow To-be(중점연) (Hybrid Materials Research Center)
- 개별 나노소재

image

- 나노소재 단순 결합

image

나노소재 융합화(Hybridzation)

- 두 개 이상의 개별 소재가 융합된 구조를 형성하여 개별 소재의 물성이 결합된 복합 소재를 개발
arrow Novel Applications image
나노소재 계층화(Hierarchicalization)

- 나노-마이크로-메조-마크로 스케일 등으로 계층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개별 소재가 갖지 못한 새로운 성능 혹은 슈퍼성능을 발현
As-is arrow To-be

개별적 나노소재 연구, 나노소재의 단순 결합 연구

나노소재의 융합화(hybridization) 및 계층화(hierarchicalization)를 통한 새로운 성능, 복합 성능, 혹은 고성능(생체 적합, 웨어러블)의 새로운 소재 개발

As-is HMC Center

- 개별 나노소재
image

- 나노소재 단순 결합
image

arrow
To-be(중점연) (Hybrid Materials Research Center)
나노소재 융합화(Hybridzation)

- 두 개 이상의 개별 소재가 융합된 구조를 형성하여 개별 소재의 물성이 결합된 복합 소재를 개발
arrow Novel Applications image
나노소재 계층화(Hierarchicalization)

- 나노-마이크로-메조-마크로 스케일 등으로 계층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개별 소재가 갖지 못한 새로운 성능 혹은 슈퍼성능을 발현

As-is

개별적 나노소재 연구, 나노소재의 단순 결합 연구

arrow
To-be

나노소재의 융합화(hybridization) 및 계층화(hierarchicalization)를 통한 새로운 성능, 복합 성능, 혹은 고성능(생체 적합, 웨어러블)의 새로운 소재 개발

주관연구 책임자
image
이 내 성 주관연구책임자
  • 학 력
    - 서울대 금속공학과 학사 (84년)
    -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석사 (86년)
    - 미국 Pennsylvania 주립대 재료공학과 박사 (96년)
  • 주요 경력
    - 한국재료연구소 연구원 (86-89년)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97-01년)
    -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교수 (01년-현재)
학술 역량
SCI논문 140편
- 총 인용횟수 7,844회, h-index 38
- APL (1999) : 1,965회 인용
- DRM (2001) : 472회 인용

특허 : 미국 9건, 한국 33건

학술대회발표 200여건
- MRS/APS/IDW 등 초청강연
교육 / 인력양성 역량
석사 34명, 박사 6명 배출
BK21, 2기 / 3기 연구책임자 (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연구책임자 (현)
나노학과협의체 회장
한국나노기술연구협의회 교육위원장 (현)
학·연·산 협력 역량
기술이전 (2018년)
- CNT 전극 관련 기술 2건 (2.1억원)

세계최초 CNT-FED개발
- 삼성기술상(금상) 수상

삼성전자종합기술원, 한국재료연구소 근무 경험으로 학·연·산 협력 높은 이해
집단과제 수행 역량
BK21 2기/3기 사업 (책임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책임자)
국가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 책임자
대외활동 역량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5년)
연구재단 국책본부 전문위원(현)
과기정통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현)
학회 활동(나노, 재료 분야)
행정 역량
교내 다양한 보직 수행
- 공동기기센터장
- 공과대 학장
-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대학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위원, 대학구조개혁위원
학술 역량
SCI논문 140편
- 총 인용횟수 7,844회, h-index 38
- APL (1999) : 1,965회 인용
- DRM (2001) : 472회 인용

특허 : 미국 9건, 한국 33건

학술대회발표 200여건
- MRS/APS/IDW 등 초청강연
교육 / 인력양성 역량
석사 34명, 박사 6명 배출
BK21, 2기 / 3기 연구책임자 (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연구책임자 (현)
나노학과협의체 회장
한국나노기술연구협의회 교육위원장 (현)
학·연·산 협력 역량
기술이전 (2018년)
- CNT 전극 관련 기술 2건 (2.1억원)

세계최초 CNT-FED개발
- 삼성기술상(금상) 수상

삼성전자종합기술원, 한국재료연구소 근무 경험으로 학·연·산 협력 높은 이해
집단과제 수행 역량
BK21 2기/3기 사업 (책임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책임자)
국가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 책임자
대외활동 역량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2015년)
연구재단 국책본부 전문위원(현)
과기정통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현)
학회 활동(나노, 재료 분야)
행정 역량
교내 다양한 보직 수행
- 공동기기센터장
- 공과대 학장
- 산학협력단장 (연구처장)

대학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위원, 대학구조개혁위원
단계 및 연차별 발전 계획

SE : Superelectrode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발전계획 SE 연구 기초 기반 확립 융합·계층구조
기반 SE 소재 중점 연구
융합·계층구조 기반
SE 에너지 소자
및 센서 중점 연구
융합·계층구조 기반
웨어러블 SE 소재
및 소자 중점 연구
생체적합성·생체분해성
SE 소재 및 소자
중점 연구
교육 SE 관련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
융합 기반 대학원 교육과정
신설 및 운영
SE 전공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SE 전공 전임연구인력 양성 세계적 수준의 SE
전문 인력 배출 및 확산
연구 하이브리드 나노 재료 기반
SE 기초 연구
나노 소재를 이용한 융합
·계층구조 형성 및 응용
소자 연구
융합·계층구조기반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센서 연구
융합·계층구조 기반 웨어러블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센서 연구
융합·계층구조 기반
생체적합성·생분해성
SE 소재 합성 및 에너지 소자
/센서 연구
협력 학·연·산 협력 네트워크
기반 설계
학·연·산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및 공동연구 추진
학·연·산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학·연·산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국제 협력 기반 세계 수준의
연구소 도약
운영 연구소 운영 체제 설계 연구소 장비 구축 및 활용 연구소 평가 체제 확립 연구소 운영 체제 고도화 연구소 자립화 방안 마련
중점연구소 인력양성 교육과정
Superelectrode 소재와 소자 과정별 전문성 강화 교육 실시






기초 과목
Superelectrode
소재
유무기소재 합성특론 융합소재 특론
Superelectrode
소자
전극공학 특론 생체공학 특론
Superelectrode
소재
나노과학 전산모사 융합 소재특론 계층구조 소재특론
Superelectrode
소재
에너지 소자특론 센서 공학특론 생체 공학특론
선택 과목

- 반도체재료특론
- 전자세라믹스재료특론
- 기능금속재료
- 융합고분자화학특론
- 유기재료물성
- 자성재료특론
- 표면및계면론
- 전자재료물성공학특론
- 융합소재구조특론
- 진공공학
- 원자힘현미경및실습
- 전자소자특론
- 나노바이오공학
- 에너지소자공학
- 반도체소자특론
- 정보표시소자공학
- 나노광학

소재소자 융합 과목

- 나노융합기술응용
- 융합과학기술세미나 Ⅰ·Ⅱ
- 나노신소재공학과 세미나Ⅰ·Ⅱ